골조모델링 작성방법

기초

기초에 부재가 겹칠 경우 겹쳐져 있는 상태 그대로 모델링한다.
흙에 닿는 최하부 바닥은 기초매트로 모델링한다.
TYPE(유형)은 구조배근리스트내 기초부재명칭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예 : F1, MF1 등 )
유형특성창의 부재구분 란에 "기초"로 명기한다

구조기둥

상단 메뉴의 구조탭>구조기둥을 선택해서 작성한다.( 홈탭>기둥 선택 금지[X] )
기둥의 하단이 기초에 접한 경우 기초에 겹치지 않게 모델링한다.
기둥의 상단이 슬라브에 접한 경우 슬라브 상단까지 모델링한다.
TYPE(유형)은 구조배근리스트내 기둥부재명칭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예 : 1C1, C2 등 )
유형특성창의 부재구분 란에 "기둥"으로 명기한다.

레벨에 따라 기둥이 연속적으로 작성되는 경우 기둥 간 높이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한다.
철골기둥의 경우는 부재구분 란에 명기하지 않는다.
철골기둥은 SRC / 내화피복형 / 내화페인트형 / 장식용비노출형 / 장식용노출형 등으로 철골도장 조건에 따라 구분되어야 하므로 명칭을 정하는 형식은 아래에 따른다.

기둥간 중심선까지 모델링한다.(기둥과 보가 겹쳐도 상관없음)
TYPE(유형)은 구조배근리스트내 보 부재명칭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예 : 1G1, 2G3 등 )
유형특성창의 부재구분란에 "보"로 명기한다

DECK-SLAB에 부착되는 철골보는 SLAB두께만큼 아래로 간격을 띄운다.
RC조의 보와 SLAB의 경우는 SLAB상단레벨과 동일하게 RC보를 배치한다.(겹침 가능)

철골보의 경우는 부재구분 란에 명기하지 않는다.
철골보의 경우 SRC / 내화피복형 / 내화페인트형 / 장식용비노출형 / 장식용노출형 등으로 철골도장 조건에 따라 구분되어야 하므로 명칭을 정하는 형식은 아래에 따른다.

슬라브

단부배치의 경우 옹벽 또는 보의 끝단 면까지 모델링한다.
SLAB모델링은 보 또는 옹벽으로 둘러싸인 SPAN별로 각각 모델링한다.
TYPE(유형)은 구조배근리스트 내 SLAB 부재명칭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예 : 1S1, RS2 등 )
유형특성창의 부재구분 란에 "슬라브"로 명기한다

옹벽

기초위에 바로 옹벽이 작성되는 경우 기초에 겹치지 않게 모델링한다.
기둥간 연속되는 옹벽의 경우 기둥과 겹치게 모델링해도 무방하다.
옹벽의 높이는 실제 시공되는 높이인 상부 슬라브의 상단까지 겹치도록 모델링한다.
TYPE(유형)은 구조배근리스트내 옹벽 부재명칭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예 : 1W1, RW2 등 )
유형특성창의 부재구분 란에  "옹벽"으로 명기한다.

벽체 모델링 진행시 특성창에 있는 베이스구속조건과 상단구속조건, 간격띄우기 값과 모델링
형태가 동일하도록 한다.(상단/베이스부착 메뉴를 사용하지 않는다)
모델링형태가 사각형 형태가 아닌 이형인 경우 TYPE 명칭에 구분이 가능하도록 작성한다.
     ▶  예 : 옹벽이 삼각형형태의 가공이 필요한 벽체인 경우 - 1W1(삼)

계단

계단 모델링의 경우 같은 부호라도 디딤판, 챌판의 SIZE가 달라지는 경우 명칭을 구분한다.(예 : SS1 ▶ 1SS1 / 2SS1 등 )
TYPE(유형)은 구조배근리스트내 계단 부재명칭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유형특성창의 부재구분 란에 "계단"으로 명기한다.

철골계단의 경우는 TYPE명칭이 구분될 수 있도록 작성하고 유형특성창의 부재구분 란에 "계단"을 명기하지 않는다.
계단모델링시 계단참을 별도로 작성할 경우 바닥유형을 사용하고 계단참으로 인식될 수 있는 명칭을 부여한다.